현실을 반영하는 영화 속 색상
흑백 꿈과 컬러 꿈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미국 철학차 슈비츠게벨은 중국에서 오랫동안 흑백tv, 영화만 보고 산 시골지역 사람들과, 같은 시대임에도 컬러tv, 영화를 보고 있었던 도시지역 사람들의 꿈을 조사해보았는데 시골사람들은 흑백꿈을 꾸었고, 도시사람들은 컬러꿈을 꾸었습니다.
이처럼 의식이 현실에서 겪은 사건들은 꿈에 반영되어 나타난다고 합니다. 한동안 빨간 색안경을 쓰고다닌 실험 그룹들은 일정기간 동안 온통 붉게 보이는 꿈을 꾸게 되고, 흑백 영화 세대들은 흑백 꿈을, 그 이후 세대들은 대부분 컬러 꿈을 꿉니다.
꿈에 현실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가 있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 심리학 교수 윌리엄 돔호프가 한 인물이 22년간 작성한 3,082건의 꿈일기를 전달받아 그의 성격과 이력을 분석해 본 것입니다.
복잡하게 해석하지 않아도 나타나는 꿈의 메시지
이 연구대상은 연구자들과 생면부지로 전혀 접촉이 없던 인물이 선정되었으며, 1년에 걸쳐 꿈일기를 컴퓨터에 입력해 패턴을 분석했고, 분석결과 97%에 달하는 3000건의 꿈이 성격과 삶을 예상할 단서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자주 등장하는 인물은 어머니와 둘째딸이었는데 약 10%의 확률로 꿈에 등장하며, 꿈 속에서 다툼이 많았습니다. 분석이 다 끝난 후 꿈일기의 주인공과 대면한 돔호프 박사는 대부분의 꿈 분석 결과가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주인공의 어머니는 예민하고 비판적인 사람이었으며 어머니와의 관계는 실제로 꿈일기 주인공에게 무척 어려운 관계였습니다. 둘째딸은 조울증 환자였는데, 17살에 아이를 낳아 꿈일기 주인공이 대신 맡아서 키우고 있었습니다.
놀랍도록 정확한 꿈 일기 분석 결과에 고무된 돔호프 박사는 다른 사람들의 꿈 일기도 분석해 보았고, 역시나 계속 예상대로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꿈을 해석해야하고, 분석해야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꿈의 비유와 은유를 잘 이해한다면, 꿈을 복잡하게 해석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인다 해도 충분히 그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짐작됩니다.
무의식은 꿈을 통해 매일 말하고 있습니다. 개인이 다 가질 수 없는 현명함은 무의식으로 보충될 수 있고, 꿈을 통해 들려오는 무의식의 메시지를 제대로 자기화 해 낼 수 있다면 삶에 큰 힘이 될 것 입니다. <변신>의 작가 '카프카'는 꿈의 힘을 크게 믿고 있었고, 꿈에 등장한 이미지들을 사용해 작품을 내어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는 꿈을 복잡하게 해석하려 하지 않았고, 그 자체를 받아들이고 느꼈으며, 작품으로 녹여내어 그 책을 읽은 사람들, 집단무의식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날 아침 불안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자신이 잠자리 속에서 한 마리 흉측한 해충으로 변해 있음을 발견했다
-프란츠 카프카/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