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단계로 이루어진 아니마,아니무스 발달단계

아니마,아니무스 모두 발달단계를 4단계로 구분합니다. 단계를 살펴보면 어릴적 마음 속에 간직했던 아이돌들도 아니무스 발달단계 중 하나이고. 목사님, 수녀님을 영적 우상화하는 모습도 아니무스 발달단계에 속합니다. 아이돌 소식을 찾아보고 팬클럽에 가입하거나 관련 물품을 사는 등 하나의 팬이 되는 활동은 삶의 활력을 주기도 합니다.

마치 사랑에 빠지는 것과 같은 현상인데, 심리적 현상을 살펴보면 결국, 우리 자신 내면 속에 있는 남신, 여신(아니마/아니무스)의 이미지를 사랑하는 것이고, 어떤 면에서 우리자신을 사랑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이 심리를 더 살펴보면, 누군가의 팬이되는 마음 속에는 나에게 그(아이돌)가 갖고 있는 어떤 것이 없다는 의식의 인식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사실일까요? 우리에겐 개인적 무의식 뿐 아니라 집단적 무의식도 있습니다. 그곳엔 없는게 없죠. 나의 의식이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아이돌)에서 찾는 것입니다. 

 

아니무스

아니마

4 단계

1. 타잔 : 신체적 힘. 운동선수


2. 헤밍웨이 : 주도권갖는 계획된 행동자. 낭만적 남성. 


3. 빌리그레이엄 : 말씀의 사자. 교수, 목사, 정치웅변가.


4. 간디 : 의미의 구체화. 영적진리로 이끄는 지혜로운 안내자. 노현자의 원형상

1. 하와 : 원시적,본능적 여성상. 생물학적인 것, 어머니상징, 아기낳는 생산성


2. 헬레네 : 낭만적 여성상. 미적, 개성적 가치 갖고있음


3. 마리아 : 영적 여성상. 종교적 헌신. 영적 어머니(관음보살, 파티마,샤크티)


4. 소피아 : 지혜로운 여성상. 관음보살, 모나리자의 이미지.대극합일을 통한 성숙된 단계

분화와 통합 

본능적 힘의 충동에서 진취적 행동과 의미있는 말의 힘을 계발해 의미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지혜를 매개할 수 있는 경지에 도달

육체적, 낭만적 애욕의 수준으로부터 종교적으로 승화된 자비로운 사랑을 거쳐 지혜의 경지에 도달

단계별로 페르소나를 조절하는 아니마,아니무스

루브르박물관 전시실의 모나리자 사진
4단계 아니마 상징인물 중 하나인 모나리자

 

아니마/아니무스는 위처럼 4단계를 거치며 발달하는데 발달 과정에서 페르소나를 조절하는 역할도 담당합니다. 즉 아니마/아니무스는 무의식에 존재하는 반대성에 해당하는 성질이기 때문에, 의식영역에서도 생물학적 성에 국한되지 않도록 자신의 과도한 남성/여성 페르소나를 조절해 주는 겁니다.

예를 들어, 운동선수의 팬이된 소녀가 갖고 있는 아니무스는 1단계에 해당합니다. 이 소녀가 선망의 대상인 운동선수에 대해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그 아니무스 상징 남성(운동선수)에 대해 알게되고, 계기가 생겨 자신도 운동을 하게된다면, 신체적 힘을 사용해 성취감을 얻고, 노력에 대해 찬사를 받는 것이 무엇인지 깨닫게 됩니다.

이렇게되면 이 소녀의 무의식에 숨어있던 아니무스(운동선수)의 속성이 자아가 받아들일 수 있는 선 안에서 의식화된 것입니다. 이 소녀는 그 운동선수에 대한 선망(투사)을 거두게 되고, 2단계의 아니무스 발달 단계로 갈 수 있는 길이 생기게 됩니다. 이 소녀의 아니무스는 한쪽으로 치우친 이 소녀의 페르소나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 것이죠.

아니마/아니무스는 개인적 무의식 뿐 아니라 집단적 무의식에도 속해 있으므로 남성/여성에 속하는 단성으로서의 일방적 태도 개선은 물론, 집단 무의식의 조절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페르소나의 일방적 독주를 막는 아니마/아니무스는 자아가 보다 성숙한 자기(self)로 나아가도록 돕습니다. 이렇게 의식이 무의식과 함께 하는 통합적 인격이 형성됩니다. 내 속에 있는 아니마/아니무스는 결국 나를 돌아보고 통합적으로 적응하며 살아가게 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