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식의 빈공간으로 올라오는 무의식

三十輻共一 當其無 有車之用(삼십폭공일 당기무 유차지용) : 서른 개 바퀴살이 하나로 모여 바퀴살통을 만드는데 가운데가 비어있어서 수레를 쓸 수 있게 됩니다. 바퀴살이 바퀴살 통에 모이고 이 둘을 합쳐 수레를 만들게 됩니다. 바퀴살 통이 비어있지 않았다면 바퀴살이 한데 모이지 못했을 것이라는 비유로 비어있음의 중요성을 말합니다.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연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 : 흙을 빚어 그릇을 만드는데 가운데가 비어서 그릇으로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비어있음은 무위(無爲)와 연결되는 것으로 무의식이 의식에 올라올 때 자연스럽게 무의식을 다루고, 충분히 다루어져 더 이상 의식에 있을 필요가 없어지면 다시 무의식으로 흘러가도록 두는 것입니다. 억압하지 않는 자연스러움이라 말 할 수 있습니다. 의식에 빈 공간이 있어야 무의식이 올라올 자리도 생기겠지요.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착호유이위실 당기무 유실지용) : 집에 문을 뚫어 방을 만드는데 가운데가 비어있어서 방으로 쓸 수 있습니다. 연속해서 비어있음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하면 정신건강에 이상이 생깁니다.

무의식의 통로로 쓰이는 꿈에 접근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제대로 꿈을 못 꾼다면, 무의식이 접근할 꿈이라는 통로가 사라지게 되고, 이렇게 무의식과 의식의 흐름에 문제가 생긴다면, 자아가 중심인 정신세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건 아닐지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무의식이 의식을 제대로 기능하게 함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고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 이처럼 있음이 이롭게 되는 것은 없음이 있어서 쓸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있음과 없음을 두루 살펴 알아야 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특히 있음과 없음의 관계가 효용으로 이어지는 전체의 틀을 보길 지적하고 있는데요.

잔디 위에 놓여진 수레
바퀴살은 바퀴살 통이 비어있어서 쓸모있는 수레가 되는 것이다

 

없음, 빈 것, 빈 공간, 무의식의 효용은 있음, 바퀴살, 흙, 방, 의식이 제대로 기능하게 하는데 있다는 것입니다. 매우 중요한 지적으로서, 눈에 보이는 의식 세계를 제대로 기능하게 하는 것은 무의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